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연세대학교

놀라운 이야기

by Bliss Yeo 2009. 11. 29. 22:31

본문

 



1884년 궁정어의(宮廷御醫)로 봉사한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H. N. Allen 박사에게 1885년 4월 10일 고종황제가 서울 재동(현재 헌법재판소 자리)에 제중원(濟衆院 : 초기 이름은 廣惠院)이라는 병원을 설립하게 한 것이 바로 세브란스 의과대학의 효시이며, 1886년 3월 29일 학생 16명(16명의 학생 중 12명만이 본과로 진급하였으며 졸업후 외국에 파견되는 사절단이나 군함의 의사로 활약하였다)을 선발하여 개학하니 이것이 곧 연세대학교 역사의 시작일 뿐 아니라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 의학 강습의 출발점이 된 것이다.그 후 제중원은 카나다 Toronto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였던 어부신(O. R. Avison)박사가 인계 받아 1899년 미국 클리블랜드시의 세브란스(L. H. Severance)씨로부터 기증받았던 기금으로 1904년 병원을 신축하고 의학 교육기관을 확정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세브란스병원이며,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이다.

1908년 배출된 제1회 졸업생 7명에게는 한국 정부로부터 의료 활동을 할 수 있는 최초의 의사면허증이 발급되었다.

1909년 교명을 사립 세브란스의학교로, 1913년에는 사립 세브란스연합의학교라고 칭하였으며, 1917년에는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로 발전하였으나 1942년 일제의 강요로 교명을 아사히의학전문학교(旭醫學專門學校)로 변경하여 1945년 8월 해방을 맞이하였다.

1947년 문교부로부터 6년제의 세브란스 의과대학으로 인가를 얻었으며, 6·25 동란 중에는 피난지(거제도와 원주 등지)에서 피난민을 위한 구호 병원을 개설하여 의료사업을 전개하였다.

한편, 1906년 9월 쉴즈(Miss Esther L. Shields)가 세브란스병원 구내에 우수한 간호원 양성전문기관으로 간호학교를 설치하여 1910년 한국 최초의 간호원을 배출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1968년에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으로 승격하였다.

 

사립종합대학.
법인명은 학교법인 연세대학교이며, 교훈은 '진리·자유'이다. 신촌 캠퍼스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134번지에, 매지 캠퍼스는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매지리 234번지에, 일산 캠퍼스는 강원도 원주시 일산동 162번지에 있다.
1885년 설립된 제중원을 모태로 1904년 근대식 세브란스 병원이 준공되었고, 1913년 사립 세브란스연합의학교로 교명을 바꾸었다. 1917년 4월 H.G. 언더우드가 사립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았고, 1917년 5월 O.R. 에비슨이 재단법인 사립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사립 연희전문학교는 1923년 연희전문학교로, 1946년 연희대학교로 승격되었고, 1957년 1월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의과대학을 병합해 연세대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 1977년 12월 의과대학 원주분교 신설인가를 받았고, 1981년 원주분교가 원주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82년 원주의과대학을 신설했다.
신촌 캠퍼스는 문과대학·상경대학·경영대학·이과대학·공과대학·신과대학·사회과학대학·법과대학·음악대학·생활과학대학·교육과학대학·의과대학·치과대학·간호대학·언더우드국제대학 등 15개 단과대학에 약 70여 개 학과 및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주 캠퍼스는 문화예술대학·과학기술대학·정경대학·보건과학대학·원주의과대학 등 5개 단과대학에 31개 학과 및 전공이 있다.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외에 연합신학대학원·경제대학원·교육대학원·행정대학원·보건대학원 등의 특수대학원, 연합신학대학원·국제학대학원·정보대학원·커뮤니케이션대학원 등의 전문대학원이 있다.
부속기관으로는 중앙도서관·박물관·대학언론사·사회복지센터·건강센터·천문대·생활관·언어연구교육원·대학출판문화원·공학원·청년문화원·기록보존소 등이 있다. 부설연구소로는 국학연구원·동서문제연구원·언어정보연구원·여성인력개발연구원·통일연구원·암전이연구센터·생명과학기술연구원 등이 있다.


 

 

 디카에 담아본 연세대학교 캠퍼스 ( 2009.11.24 )

 연세대학교 정문↘

 

 본관

 

 

 

 도서실

 제1공학관 공과대학 공과대학원↘

 

 

 

 

 

 실내체육관

 학생관

  

 

 대강당

 

 

 

 

 

 경영대학

 상경대학

 

 

 

 

 도서실

 

 

 

 

  도서실과 삼성학술 정보관

 

 

 

 외솔관

 문과대학

 유억겸 기념관 연구처

 

 

 시학관, 신학대학

 과학관 이과대학

 연세 삼성 학술 정보관

 과학원

과학관 이공대

 

 과학원

 

 제1공학관 공과대학

 제2공학관 공과대학

 제3공학관 공과대학

 공학원 종합서비스센터

 연세 삼성 학술 정보관

 역사관

 셈브란스병원↘

 

 임상의학 연구 센터↘

 

 

 

출처 : 두레박
글쓴이 : 김인식 원글보기
메모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