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신명기 개론
1. 서론적 논의
(1)책 이름: 히브리어로는 דְּבָרִים “이것들이 그 말씀들이다.”
: 헬라어 이름(Δευτερονόμιον)은 신 17:18(“그가 왕위에 오르거든 레위 사람 제사장 앞에서 보관한 이 율법서를 등사하여”)에 근거
: 申命記(신명기)(거듭 명령하는 책)
2. 기록 목적: 출, 레, 민에서 언급된 중요한 교훈들을 뽑아 새 세대들에게 소개함으로써 그 들이 하나님의 말씀에 충실한 삶을 살도록 권하는 목적
3. 신학적 주제들
*Roy Honeycutt. Leviticus, Numbers, Deuteronomy. Broadman Press
-유일신 사상(6:4)
-하나님의 사랑(8:3)
-언약에 근거한 윤리적 행동 촉구
-개혁의 정신
*로날드 클레멘츠. ⌜신명기⌟. 한들출판사
-하나님: 유일성, 초월성(honotheism), 우상을 금지하는 명령
-이스라엘: 하나님의 말씀을 들어야 할 존재, 하나님의 백성, 선택받은 백성
-예배: 신 12장
-사회 정의: 12-26장
(1)계약 사상--하나님이 사랑과 은혜를 베푸시면서 먼저 접근하시고 계약을 맺으심
(2)회개의 주제--돌아오라는 주제
(3)하나님의 사랑과 은혜(7:7)
(4)신앙적 인과응보 사상
-신앙적 인과응보 사상만이 복음인가?
(5)중앙 성전제--예배의 중앙화
(6)참된 예배론
(7)신명기적 축복론
-R. E. Clements--장수(5:33)/ 적들의 진멸(6:18)/ 땅의 기업(6:19)/ 명성(28:1)/ 자녀 (28:4)/ 물질적 축복(28:4-6)
-holy materialism
4. 구조
*유진 메릴, 잭 디어. ⌜민수기, 신명기⌟. Bible Knowledge Commentary 3. 두란노
-주전 2000년대의 전형적인 종주권 조약 형태와 신명기의 형태 비교
1)전문-------------------------------------------------신 1:1-4
2)역사적인 증언(왕의 봉신과의 관계에 대한 역사)----------------신 1:5-4:43
3)일반적인 약정(왕에게 충성을 다할 것을 요구)------------------신 4:44-11:32
4)구체적인 약정------------------------------------------신 12-26장
5)신의 증언(조약의 증언을 신들게 요청)---유일신 사상에 기초한 신명기에서는 제외
6)축복과 저주--------------------------------------------신 27-30장
(1)과거 역사의 회고(1:1-4:43)
(2)구체적인 율법들(4:44-26:19)
(3)율법들을 지키도록 초청(27-30장)
(4)새 지도자의 선택(31-34장)
5. 구조에 따른 교훈
(1)1:1-4:43: 호렙산에서 모압 근처에 이르기까지 있었던 사건들 언급
:민수기의 중요한 사건들을 언급함으로써 과거 선조들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함
1)1:1-4: 모세 설교의 역사적인 상황 설명
-장소: 1절
-연대: 3절: “제 사십 년 십일 월 그 달 초 일 일에”--2절과의 대조
2)1:5-18: 호렙 산에서 출발/ 지도자들 선출(출 17장에서 언급된 바 있음)
-약속의 땅을 차지해야 할 사명을 상기시켜줌(8절)
-지도자들의 역할을 상기시켜줌(16, 17절)
3)1:19-46: 가데스 바네아에서의 실패(민 13-14장에서 언급된 바 있음)
-장탐꾼 사건의 회고와 교훈
-민 13-14장의 보완 설명--모세의 설득 추가--30-33절에서 강조되는 바?
4)2:1-3:29: 요단 동편으로의 여행과 정복
-2:1-8: 가데스 바네아에서 세일 산(에돔)까지--민 20:14-21절
-2:9-23: 모압과 암몬 우회
-2:24-37: 헤스본 왕 시혼 진멸--민 21:21-32에서 연급
-3:1-11: 옥의 진멸--민 21:33-35에서 언급
-3:12-22: 요단 강 동편 정복된 땅의 분배--민 32장에서 언급
-3:23-29: 약속의 땅에 들어갈 것을 금지당한 모세-민 20:8-13과 연관
-4:1-43: 율법 순종과 우상 숭배 금지 명령
:규례(huqah): 명문화되어진 명령, 불변의 법규
:법도(mishphat): 재판장이 언도하는 구체적인 법적 판결
:11:1: 책무(mishmaret): 책임, 지시/ 명령(mitsvah)
:9-14절: 십계명을 전수받던 사건을 회고
:15-31절: 우상 숭배 금지 명령과 불순종에 대한 경고
:32-40절: 지나간 날동안 하나님께서 베푸신 일들을 상고하라.
:41-43절: 요단 동편 도피성들: 베셀(르우벤)/ 길르앗 라못(갓)/ 골란(므낫세)
-수 20:7-9: 게데스(납달리), 세겜(에브라임), 헤브론(유다)
*도피성의 그리스도론적 해석
-게데스--거룩하다--우리를 거룩하게 만들어주신 예수님
-세겜--어깨---우리의 죄 짐을 어깨에 짊어지신 예수님
-헤브론--교제, 결합--우리를 친구 삼아주신 예수님
-베셀--금광, 포도원--우리를 금보다 귀하게 변화시켜주신 예수님
-라못--높은 곳----우리를 영광스럽게 만들어주신 예수님
-골란--기쁨, 환희--우리의 기쁨의 근원이 되신 예수님
(2)4:44-26:19: 구체적인 율법들
1)4:44-5:33: 새 세대를 위한 십계명
*5:1-21: 새 새대를 위한 십계명
2)6장: "쉐마“와 불순종에 대한 경고
:1-3절: 하나님의 말씀 순조에 따르는 축복
:4-9절: 이스라엘 백성의 신앙 고백의 기본
-“쉐마 이스라엘”
:10-19: 불순종에 대한 경고
:20-25: 후손들을 위한 신앙 교육의 필요성
3)7장:
1)1-5절: 성전(holy war) 명령과 그 이유
2)6-11절: 이스라엘의 선택론: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택하신 이유?
-그리스도인의 선민 사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제공한다.
3)12-26절: 순종하는 자들을 위한 축복
4)8장: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 생활을 하게 된 이유?
-그리스도인의 시험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제공한다.
5)9:1-10:11: 이스라엘 백성들이 교만하지 않도록 경고함
가)9:1-6절: 가나안 정복은 이스라엘의 의로움 때문인가?
나)9:7-10:11절: 이스라엘 백성들의 불순종한 모습들을 상기시킴
-9:7-21: 금송아지 사건---출 32장
-9:22: 다베라(민 11:3)/ 맛사(출 17:1-7)/ 기브론 핫다아와(민 11:31-34)
-9:23-24: 가데스 바네아에서의 정탐꾼 사건(민 13-14장)
-9:25-10:11: 모세의 중보기도와 하나님의 응답
6)10:12-11:32: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라는 권고
-10:13절: 여호와의 명령과 규례의 목적?
-10:15절: 이스라엘 선택론
-11:1-7: 출애굽 사건과 광야 생활의 회고
-11:8-25: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할 때 주어지는 축복
*11:18-21: 자녀들의 신앙 교육의 중요성
-11:26-32: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자들을 향한 축복과 불순종 하는 자를 향한 저 주
7)12-26장: 신명기 법전
-중앙집권적 예배(12장)
-인도주의적 사회
가)12장: 예루살렘 성전 중심의 예배--참된 예배란?
나)14장: 온전한 음식
다)14:22: 십일조의 용도
라)15장: 면제년(안식년)
마)17장: 왕의 임무
바)18장: 레위인과 예언자
사)19장: 도피성
아)20장: 전쟁에 임하는 자의 자세
자)21장: 가정 내의 성결
차)22장: 짐승에 관한 법, 성적 성결
카)23장: 공동체의 성결
타)24장: 이혼, 문둥병, 가난한 자들에 대한 관심
파)25장: 인간 관계의 성결
하)26장: 이스라엘 백성들의 추수 감사 고백
8)27-30장: 신앙적 인과응보 사상
-30:11-20: 하나님의 율법을 지키는 것의 용이함
9)31-34장: 여호수아가 새로운 지도자로 부각됨
강의: 여호수아서 개론
1. 서론적 논의
(1)책 이름: [;vuAhy>여호와는 구원자이시다.
(2)문학적 양식: 역사서? 전기예언서?
(3)가나안 사회와 종교
1)지역: 북쪽으로는 터키 남단, 남쪽은 애굽의 북쪽 국경
2)가나안의 의미: 무역하는 사람
3)사회: 농경 사회, 도시 자치주의 정치 체제, 독자적인 언어(설형문자, 애굽의 상형문자)
4)종교: 다산 종교/ 다신교/ 바알 신화/ 성적 문란
*참고의 글
이형원, “여호수아서의 역사적 배경 연구,” 「그말씀」, 1999년 2월
Lawrence Boadt, Reading the Old Testament: An Introduction. New York: Paulist Press, 1984.
(4)신명기적 역사서란?
2. 논쟁점--가나안 집입 과정
(1)군사적 정복설
(2)평화적 이민설
(3)내적 봉기설
(4)가나안 도시국가들 주변 유목민들의 유입?
3. 구조
(1)가나안 정복 과정(1-12장)
(2)가나안의 분배(13-22장)
(3)여호수아의 설교(23-24장)
4. 교훈
(1)1장: 신앙 공동체의 지도자가 지녀야 할 확신과 추종자들의 자세
(2)2장: 정탐꾼 이야기
-이방 여인 라합의 하나님에 관한 신앙 고백(2:9-11)
(3)3-4장: 요단강을 건너는 과정과 이후
-누가 먼저 건넜는가?
-돌단 쌓기의 중요성?
(4)5장: 유월절을 지키고 할례를 행함
(5)6장: 여리고 성 함락
-거룩한 하나님의 전쟁(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하나님의 방법대로, 하나님이 이끄신 전 쟁)
-공동체의 성결을 요구하는 규율
(6)7-8장: 아이성 공격의 실패와 성공
-아간의 죄?
-집단적 개인(corporate personality) 사상의 중요성
(7)9장: 여호수아의 실수?
-교회 사역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
-다윗의 사역과의 비교(삼상 30:8--아말렉/ 삼하 2:1-헤브론/ 삼하 5:19, 23--블레셋 과의 전투)
(8)10장: 가나안의 다섯 왕 정복--초자연적인 기적을 통한 승리(12절)
(9)13-22장): 땅을 주시겠다는 약속을 성실하게 지키신 하나님
-갈렙(14장)을 통한 교훈?
예)1968년 멕시코 시티 올림픽 마라톤-탄자니아 선수-John Stephen Akhwari
(10)23-24장: 여호수아의 고별 설교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
4. 적용점
*레노바레 성경의 주석 참고
[스크랩] 제 사 와 언 약 - 레위기의 신학에 대한 연구 (0) | 2014.04.22 |
---|---|
[스크랩] 민수기(Numbers) 개론 (0) | 2014.04.22 |
[스크랩] 신명기 신학 정리 (0) | 2014.04.22 |
[스크랩] 구약제사의 종류 (0) | 2014.04.22 |
[스크랩] 구약총론 (0) | 201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