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방어기제 (정신분석학) [防禦機制, defense mechanism]

지성인과 지식

by Bliss Yeo 2011. 4. 17. 17:57

본문

방어기제 (정신분석학)  [防禦機制, defense mechanism]

 

이 과정들은 보통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며, 이때의 타협안들은 대체로 자기비하·불안을 초래할 수 있는 자신의 본능적 욕구나 감정을 감추는 성격을 띤다. 방어기제(또는 방위기제)라는 개념은 정신분석학의 가설에서 나온 것인데, 이 이론에 따르면 마음속에는 서로 반대되면서 충돌하는 2가지의 심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 용어는 지크문트 프로이트의 논문 〈방어의 신경정신학 The Neuro-Psychoses of Defence〉(1894)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정신분석학자들이 설명하는 주된 방어기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억압(repression):원하지 않는 생각·욕구·감정등을 의식으로부터 끌어내어 무의식 속으로 억눌러버리는 과정이다. 그 예로는 히스테리성기억상실증을 들 수 있는데, 환자는 불안하게 될 만한 일을 행하거나 목격하고 난 뒤에 그 일 자체와 그때의 주위상황을 완전히 잊어버린다. ②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노출되기를 꺼려하는 무의식적인 충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생각·감정·욕구 등을 의식 속에 고정시켜서 이에 따라 행동하게 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원하지 않는 아이를 가진 어머니의 경우, 아이를 원하지 않았었다는 죄책감 때문에 아이를 지나치게 염려하고 보호함으로써, 아이와 자신에게 좋은 어머니라는 인상을 남기려 한다는 것이다. ③ 투사(projection):자신의 바람직스럽지 않은 감정을 다른 사람에게 옮겨서, 그 감정이 외부로부터 오는 위협으로 보이게 하는 과정이다. 흔히 볼 수 있는 투사행위로는, 어떤 사람이 자신의 노여운 감정 때문에 우려될 때 오히려 그 사람을 적대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고 비난하는 경우이다. ④ 퇴행(regression):성숙·발전해가는 과정에서 큰 위험이나 갈등을 겪었을 때, 그동안 이룩한 발달의 일부를 상실하고 마음의 상태가 과거의 낮은 발달단계로 후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남편과 처음으로 말다툼을 한 신혼주부의 경우, 다시 부모집으로 돌아감으로써 편안함을 찾으려고 한다. 다른 예로는 어떤 사람이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자주 낮잠이나 공상에 빠지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퇴행은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나중에 올 신경증적 증상들을 예고하기도 한다. ⑤ 승화(sublimation):본능적인 욕구(보통은 성적인 것들)를 비본능적인 통로를 통해 변형시켜 분출하는 것이다. 정신분석이론에서는 성적충동에서 나오는 에너지는 사회적으로 더 허용적이고 가치있는 일(예를 들어 예술이나 과학 연구)에 쓰일 수 있도록 전환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⑥ 부정(denial):고통스러운 사실이 있다는 것에 대한 인식을 의식적으로 거부하는 것이다.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동성애에 대한 욕구나 적대감정 또는 자녀의 정신질환 등의 경우에, 이러한 사실들을 부정함으로써 참기 어려운 생각·감정·사건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⑦ 합리화(rationalization):행동의 참된(그러나 위협적인) 이유를 그럴듯하게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말한다.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방어기제들은 신경증적인 구조에 속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자신을 보호하고 방어하는 행위 그 자체는 병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정신분석

관련글 더보기